본문 바로가기

생활정보TIP

습기 때문에 눅눅한 집… 제습기 없이 해결하는 방법이 있다?!

제습기 없이 집 안 습기 잡는 방법 7가지 – 돈 안 들이고 실내를 뽀송하게 만드는 현실 꿀팁

여름철 장마와 습기 많은 계절이 되면, 누구나 한 번쯤 ‘공기가 눅눅하다’는 느낌을 받습니다. 특히 좁은 원룸, 환기가 어려운 방, 창문이 없는 욕실이나 다용도실은 공기 중 습도가 쉽게 올라가며 곰팡이 발생, 냄새, 건강 문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. 많은 사람들이 제습기를 사용하려고 하지만, 기계 자체의 가격과 높은 전기 요금 때문에 망설이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더군다나 제습기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(예: 캠핑장, 창고, 학생 자취방 등)도 존재하죠. 하지만 실망할 필요는 없습니다. 사실 집 안에 있는 재료와 생활 습관만으로도 충분히 습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제습기 없이 집 안 습도를 낮추는 7가지 현실적이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을 소개합니다. 이 방법들은 모두 검증된 방식이며, 적은 비용으로 누구나 쉽게 실천 가능합니다.


1. 신문지를 활용한 옷장, 신발장의 습기 제거 – 저비용 고효율 전략

신문지는 표면적이 넓고 흡습성이 뛰어난 재료입니다. 특히 신문지 특유의 종이 섬유 구조는 습기를 빠르게 흡수하면서도 교체가 쉽고, 비용도 들지 않습니다.

  • 옷장, 서랍장, 신발장 등에 신문지를 구겨 넣어 배치
  • 축축해진 신문지는 주 1~2회 교체
  • 신발 안에 넣으면 냄새 제거 효과도 있음

 

2. 베이킹소다 – 습기 + 악취 + 탈취, 세 마리 토끼 잡기

베이킹소다는 수분을 흡수하는 동시에 냄새를 중화하는 기능이 있어 주방, 욕실, 냉장고 등에 활용됩니다.

  • 작은 그릇에 담아 싱크대, 신발장, 화장실 등에 배치
  • 굳거나 젖으면 새 것으로 교체
  • 굳은 베이킹소다는 청소용으로 재사용 가능

 

3. 굵은 소금 – 전통 제습제의 대표 주자

굵은 천일염은 공기 중 습기를 잘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오래전부터 제습에 활용돼 왔습니다.

  • 종이컵에 담아 방이나 옷장 등에 배치
  • 물처럼 젖으면 햇볕에 말려 재사용 가능
  • 소금은 냄새 제거, 해충 방지 효과도 있음

 

4. 숯(참숯 또는 활성탄) – 재사용 가능한 친환경 제습 아이템

숯은 다공성 구조 덕분에 습기와 냄새를 동시에 흡수하며, 공기 정화 능력도 우수합니다.

  • 옷장, 신발장, 화장실 등 통풍 안 되는 곳에 배치
  • 한 달에 한 번 햇볕에 말려 재사용
  • 초기 비용이 들지만 장기적으로는 경제적

 

5. 제습식물 활용 – 보기 좋고 기능까지 갖춘 인테리어 아이템

공기 중 습기를 흡수하는 식물은 자연적인 제습 효과와 인테리어 효과를 동시에 제공합니다.

  • 추천 식물: 스파티필름, 산세베리아, 아이비
  • 햇빛이 적은 곳에서도 잘 자라는 식물 활용
  • 화분 아래 자갈을 넣으면 흡습력 증가

 

6. 환기 시간과 방향을 조절하라 – 타이밍이 관건

무작정 창문을 여는 것보다, 외부 습도를 고려한 ‘타이밍 환기’가 더욱 중요합니다.

  • 오전보다는 오후 2~4시 환기가 효과적
  • 양쪽 창을 열고 선풍기로 대류 유도
  • 비 오는 날엔 환풍기나 주방 후드로 강제 배출

 

7. 수납 공간 내 물건 정리 – 공간 밀도 줄이기

불필요한 물건을 정리하고 공기 흐름이 생기도록 배치하면 습기 자체를 줄일 수 있습니다.

  • 계절 옷, 안 쓰는 이불은 압축 보관
  • 제습제, 소금, 숯 등과 함께 보관
  • 장농 벽면에는 방습지, 알루미늄 시트 활용

신문지, 굵은 소금, 숯, 베이킹소다. 식물 등을 잘 활용하면 뽀송뽀송한 집안 내부를 만들 수 있다.


습기는 생활습관으로도 충분히 잡을 수 있다

제습기가 없다고 해서 습기 문제를 포기할 필요는 없습니다. 신문지, 굵은 소금, 숯, 베이킹소다, 식물 등을 잘 활용하면 저비용으로도 충분히 실내 습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. 오늘 소개한 7가지 방법은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현실적인 제습 전략입니다. 당장 하나라도 시작해 보세요. 습기로 인한 끈적임은 상상하기도 실은 당신에게 생각보다 뽀송한 실내는 가까이에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