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6년 최저임금이 시간당 10,320원으로 확정되었다. 이는 지난 해에 비해 약간의 인상률을 보였지만, 실제 연봉이나 월급으로 환산했을 때 생각보다 큰 차이를 만들 수 있다. 특히 최저시급을 기준으로 급여를 받는 근로자라면, 올해 연봉이 얼마나 오를지 궁금할 수밖에 없다. 최저시급은 단순히 시급 계산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, 주휴수당 포함 여부, 월 근로시간, 연간 총 근무 시간에 따라 실질 연봉 차이를 만든다. 지금부터 2026년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실제 월급과 연봉이 얼마인지 구체적으로 계산해보고, 그 차이가 얼마나 되는지 살펴보자.
2026년 최저시급은 얼마?
2026년 최저시급은 10,320원으로 확정되었다. 2025년보다 110원이 인상되었고, 인상률은 약 1.08%이다.
주 40시간 기준 연봉 계산 (주휴수당 미포함)
- 주당 근무시간: 40시간
- 연간 근무 주수: 52주
- 총 근무 시간: 40시간 × 52주 = 2,080시간
- 연봉 = 10,320원 × 2,080시간 = 21,465,600원
📌 주휴수당 제외 시 연봉: 2,146만 원 / 월급 환산: 약 1,788,800원 (세전)
주휴수당 포함 시 연봉은?
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일하고, 정해진 근무일을 모두 근무했을 경우 발생하는 유급 수당이다.
- 월 근로시간(주휴 포함): 209시간
- 연간 근로시간: 209시간 × 12개월 = 2,508시간
- 연봉 = 10,320원 × 209시간 × 12개월 = 25,876,800원
📌 주휴수당 포함 시 연봉: 2,588만 원 / 월급 환산: 약 2,156,400원 (세전)
2025년과 비교한 연봉 변화
항목 | 2025년 | 2026년 | 차이 |
---|---|---|---|
주휴수당 미포함 | 21,236,800원 | 21,465,600원 | +228,800원 |
주휴수당 포함 | 25,616,400원 | 25,876,800원 | +260,400원 |
실제 월급은 얼마일까?
실제로 받게 되는 월급은 다음과 같다.
- 주휴 포함: 약 2,156,400원
- 주휴 미포함: 약 1,788,800원
실수령액은 여기에서 4대 보험과 세금이 공제되므로 실제로는 약 10~15% 줄어든다.
결론
2026년 최저임금 10,320원은 이전보다 소폭 인상된 수준이지만, 실제 연봉으로 보면 20만~26만 원 이상 상승한다. 특히 아르바이트, 인턴, 단기계약직에게는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된다. 근로계약서 작성 시 주휴수당 포함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, 직장인 역시 급여 협상 시 연봉 환산 기준을 명확히 파악하여 연봉협상에 임하는 것이 좋다.
'정책관련TI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운동비 환급, 어디까지 돌려받을 수 있을까? – 건강보험, 카드사, 지자체, 2025 소득공제까지 완전 분석 (1) | 2025.07.10 |
---|---|
부산청년 기쁨두배통장 신청 방법과 자격 조건 총정리 TIP (0) | 2025.07.10 |
2025 청년문화패스 완벽정리: 혜택, 신청방법, 사용처까지 한눈에 (0) | 2025.07.08 |
최대 20만 원 소비쿠폰 지급! 민생회복 소비지원금 받는 법 완전정리 (0) | 2025.07.07 |
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의 모든 TIP (0) | 2025.07.07 |